톰캣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은근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톰캣 재부팅.. JAVA 소스 한글자만 수정해도 반영되려면 톰캣을 재부팅 해야반영된다. 새로운 기능 개발을 하면서 이것저것 테스트할 때 수십법 재부팅을 해야하는데..
이게 개인 프로젝트 급이면 재부팅 머 10~30초 이내라지만, 기업급 프로젝트는 재부팅도 꽤나 많은 시간을 차지한다..재부팅 눌러놓고 커피나 뽑으러 가거나 했었지만 이게 은근 흐름을 끊고 그 몇분을 다 모아보면 꽤나 많은 시간이 허비 된다는 것을 느꼈다 ㅋㅋ...
그래서 java파일 변경 후 톰캣 재부팅이 필요없는 Spring Loaded 적용하는 법을 알아보자.
1. Spring Loaded 설치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springframework/springloaded
가장 최신버전은 1.2.8이다. 2017년 이후로 새로운 버전은 없는 것 같다.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springframework/springloaded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loaded</artifactId>
<version>1.2.8.RELEASE</version>
</dependency>
난 Maven을 쓰기 때문에 pom.xml의 dependency에 추가해주자!
짜잔~ 적당한 위치에 추가해주면 된다.
2. 톰캣 설정 변경
자 내 톰캣 서버 설정으로 와서 몇가지 설정을 바꿔주자.
1. Server Options 쪽을 보면 모든 체크박스를 해제해주자.
2. Publishing 쪽에 두번 째인 Automatically publish when resources change 를 선택해주자.
1. 하단 Modules 클릭
2. Path 클릭
3. Edit 클릭
4. Auto reloading enabled 선택 해제
5. OK
마지막으로 Ctrl+S를 눌러 톰캣 설정을 저장해주자.
그리고 톰캣 부팅 후 JAVA 파일을 바꾸면 재부팅없이 반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프링 #Spring #톰캣 #tomcat #재시작 #재부팅 #종료 #다시시작 #JAVA #파일 #변경 #저장 #적용 #SpringLoaded #메이븐 #블챌 #오늘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