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아마존 AWS EC2] 마리아 DB 원격접속 설정하기 / HeidiSQL 원격 접속 / plink.exe / SSH 연결 / 인스턴스
과거 포스팅을 보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3306포트에 대한 방화벽 설정은 다 해줬음으로 바로 연결을 시도해보자. 1. HeidiSql 을 이용한 원격 접속 HeidiSql을 실행하고 11시방향에 있는 새 연결 아이콘을 눌러주자! 다음으로 좌측 하단 7시방향에 있는 신규 버튼(1)을 눌러주자. 그리고 2번쪽으로 가서 해당 세션의 이름을 정해주자. 3번박스로가서 MySQL (SSH tunnel) 로 유현을 변경해주고 4번 호스트 ip는 127.0.0.1 로 가만히 둔다. 5번 박스에 아까 위에서 root 계정으로 접속을 하자. 6번은 따로 안건드렸다면 AWS EC2에 올라간 포트번호가 3306일테니 그대로 둔다. 따로 바꾼사람만 바꿔주면 된다. 자 위에 1번 박스에 있는 SSH터널 탭으로 들어가자 P..

[아마존 AWS EC2] 마리아 DB 설치 / Mysql Root 계정 초기 비밀번호 설정
PuTTY를 이용해 설치하려는 EC2 서버에 접속한다. 1. 마리아 DB 설치 sudo apt-get install mariadb-server 위 명령어를 통해 마리아DB 최신버전을 받아주자. 자 1번 박스를 보면 위 명령어를 실행했고 2번 박스를 보면 ㄹㅇ 설치할꺼냐는 물음에 Y치고 엔터를 눌러 동의해주자. 쭈르륵 뭔가 설치되면서 끝난다. 2. 마리아 DB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 mysqladmin -u root -p password '비밀번호' 위 명령어를 입력해 비밀번호를 초기화 해주자! 입력후 Enter Password:가 나오는데 비번을 똑같이 쳐주고 엔터를 눌러주자. 3. Maria DB 접속 mysql –u root -p 위 명령어를 이용해 root 계정으로 마리아DB에 접속하자! 짜잔..

[Spring/eGov] #10 DB 조회 쿼리 및 결과 Console 창에 출력하기 / Log4j2.xml 수정 / 콘솔 로그
https://extsdd.tistory.com/114 [Spring/eGov] #9 이클립스에서 마리아DB 데이터 Select 과정 디버깅하기 / 디버깅 방법 / Debug / 디버그 https://extsdd.tistory.com/113 [Spring/eGov ] #8 이클립스에서 마리아DB 데이터 조회하기 / MyBatis / 컨트롤러 Controller / 서비스 / DAO / https://extsdd.tistory.com/112 [Spring/eGov ] #7 스프링, 전자.. extsdd.tistory.com 자 우리가 저번까지 DB에서 데이터를 조회해보고 잘 되는지 확인헀다. 하지만 쿼리를 조회하더라도 Console창에 찍히는게 없어서, 실제로 어떤 구문이 실행됐는지, 결과는 나왔는지 알 ..

[Spring/eGov] #9 이클립스에서 마리아DB 데이터 Select 과정 디버깅하기 / 디버깅 방법 / Debug / 디버그
https://extsdd.tistory.com/113 [Spring/eGov ] #8 이클립스에서 마리아DB 데이터 조회하기 / MyBatis / 컨트롤러 Controller / 서비스 / DAO / https://extsdd.tistory.com/112 [Spring/eGov ] #7 스프링,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샘플 예제- 마이바티스(MyBatis)로 마리아 DB 연동하기 / https://extsdd.tistory.com/102 [Spring/eGov ] #6 웹 서비스 만들기 2.. extsdd.tistory.com 자 저번시간까지 우리가 만든 마리아 DB를 내 스프링 프로젝트와 연동했고, 테스트로 데이터도 넣고, 컨트롤러에서 select까지 해보면서 포스팅을 마쳤다. 오늘 알아볼껀 실제로 어떻게..

[Spring/eGov ] #8 이클립스에서 마리아DB 데이터 조회하기 / MyBatis / 컨트롤러 Controller / 서비스 / DAO / 원리 / 구조 / Sql.xml
https://extsdd.tistory.com/112 [Spring/eGov ] #7 스프링,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샘플 예제- 마이바티스(MyBatis)로 마리아 DB 연동하기 / https://extsdd.tistory.com/102 [Spring/eGov ] #6 웹 서비스 만들기 2 / 요청 URL 파라미터 가져오기 / Debug 방법 / 디버깅 하는법 / @Model extsdd.tistory.com 자 우리가 마지막으로 했던게 사용자 요청 URL.. extsdd.tistory.com 자 저번 시간까지 이클립스와 Maria DB를 MyBatis라는 친구로 연동을 시켰다. 아. 전에 MyBatis가 먼지 설명을 안했는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과거에 JAVA코드로 쿼리로 DB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려고..

[Spring/eGov ] #7 스프링,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샘플 예제- 마이바티스(MyBatis)로 마리아 DB 연동하기 / 기본 Sample 프로젝트 완전히 내 프로젝트로 만들기
https://extsdd.tistory.com/102 [Spring/eGov ] #6 웹 서비스 만들기 2 / 요청 URL 파라미터 가져오기 / Debug 방법 / 디버깅 하는법 / @Model extsdd.tistory.com 자 우리가 마지막으로 했던게 사용자 요청 URL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했다. 가져온 값의 데이터가 1이면 네이버, 2면 다음, 모두 아니면 구글페이지로 넘겨줬다. 대략 위와같은 코드로 마무리 했는데, 저렇게 어떤 변수의 값이 대놓고 찍혀있는것을 우리가 하드코딩이라고 한다. 하드코딩 hard coding 자 하드코딩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데이터를 코드 내부에 직접 입력하는 것 이라고 한다. 즉.. 저 naver.com, daum.net, google.com 이런 값들이 코드..

[GIT/GITHUB] #5 이클립스 스프링 프로젝트 로컬 저장소 버전으로 복원하기 / 이전으로 복구하기 / 되돌리기
자. 저번에 GIT 저장소에 내 메인 프로젝트 소스들을 Commit해놓고, 로컬환경에서 MariaDB와 MYBATIS를 연동하기 위해 이것저건 해놓느라고 로컬 소스변경이 많았다. 이제 방법은 알아냈고 그 포스팅을 하기위해서 초기 버전으로 돌려야하는데, 전에 로컬 저장소에 올려놨던 소스들을 불러와서 복원해보자! 전에 설명했던 GIT의 구조 사진이다. PC -> 로컬 저장소(내 컴퓨터) -> 원격저장소(GITHUB) 순으로 소스들이 올라오는데 여기서 과거버전으로 복구하는건 로컬에서있는 소스를 내 PC로 가져오는 것이다. 이 소스들이 지금 내 PC의 GIT 로컬 저장소 경로에 있다. 이걸 한번 이클립스로 복원해보자! 1. 이전 버전으로 복구 자 복원하려는 프로젝트를 오른쪽마우스 클릭해주고 Team 메뉴에 들어..

[GIT/GITHUB] #4 이클립스 스프링 프로젝트 깃허브 원격저장소에 올리기 / 소스 Commit / 로컬저장소
https://extsdd.tistory.com/108 [GIT/GITHUB] #3 깃허브 - 이클립스 스프링 저장소 연동 / 원격 저장소 https://extsdd.tistory.com/107 [GIT/GITHUB] #2 깃허브 회원가입 / 로컬 저장소 - 원격 저장소 연동 / Git 시작하기 / 소스 전송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extsdd.tistory.com 저번 시간에 내 깃허브랑 이클립스랑 연동도 해놨으니, 이번엔 내 이클립스 소스를 내 깃허브에 올려보자! 만약 연동이 안됐다면 위 링크된 포스팅을 참조해서 만들어놓자! 1. 프로젝트 로컬 저장소 Commit 자 깃허브로 올릴 프로젝..